六書法(육서법)
六書法(육서법) : 한자가 형성된 여섯가지 원칙
1. 象形(상형) : 사물의 모습을 본 떠서 만든 글자
2. 指事(지사) : 추상적인 개념들을 선이나 점 등의 부호로 나타낸 방법(상징적 부호나 이미 만들어진 상형문자를 변형)
3. 會意(회의) : 상형과 지사들에 속하는 글자들을 조합하여 뜻을 합성
4. 形聲(형성) : 한자의 가장 많은 부분, 기존 글자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새로운 뜻을 나타냄,뜻을 나타내는 글자 +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
5. 轉注(전주) : 같은 글자로 뜻이 관련되는 다른 말에 전용되는 문자로 사용되는 글자, 뜻에따라 음이 바뀌기도 한다.
6. 假借(가차) : 음운이 유사한 다른 글자를 차용하여 그 말을 표시하는 방법이다. 의성어, 의태어, 외래어 표기에 많이 쓰임.
상형 -> 6백여자
지사 -> 1백여자
형성 -> 8할가량 80% (대다수)
전주, 가차 -> 글자형성 방법이 아닌 글자 사용법이다. 상형,지사의 형성 방법에서 발전
댓글
댓글 쓰기